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노마드코딩
- type hint
- 데이터시각화
- Stack
- javascript
- 파이썬
- 코딩테스트
- NumPy
- Matplotlib
- queue
- MySQL
- 프로그래머스
- aws jupyter notebook
- pandas
- 가상환경
- 알고리즘 스터디
- Selenium
- dataframe
- Join
- python
- openCV
- Algorithm
- String Method
- 알고리즘스터디
- 알고리즘
- 정보처리기사 c언어
- programmers
- 백준
- 선그래프
- 자료구조
- Today
- Total
목록전체 글 (206)
조금씩 꾸준히 완성을 향해
▶ 문제 어떤 자연수 p와 q가 있을 때, 만일 p를 q로 나누었을 때 나머지가 0이면 q는 p의 약수이다. 6의 약수는 1, 2, 3, 6, 총 네 개이다. 두 개의 자연수 N과 K가 주어졌을 때, N의 약수들 중 K번째로 작은 수를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 입력 설명 첫째 줄에 N과 K가 빈칸을 사이에 두고 주어진다. N은 1 이상 10,000 이하이다. K는 1 이상 N 이하이다. ▶ 출력 설명 첫째 줄에 N과 K가 빈칸을 사이에 두고 주어진다. N은 1 이상 10,000 이하이다. K는 1 이상 N 이하이다. ▶ 입력 6 3 ▶ 출력 3 ▷ 내가 짜본 코드 import sys sys.stdin = open('input.txt', 'rt') n, k = map(int, input().sp..
문자열을 거꾸로 뒤집어 출력하기 위한 3가지 방법을 소개한다. ▶ slice 사용 슬라이싱을 사용하면 간단하게 문자열을 뒤집어 출력할 수 있다. slice(start, stop[, step]) 슬라이싱은 세가지 인자를 받는다. (마지막 step은 optional) start : 슬라이싱을 시작할 Index end : 슬라이싱이 종료될 Index (포함되지 않는 index -> end 직전 index까지 슬라이싱 ) step : index의 간격을 설정. 기본값은 1 str = 'Hello, World!' reversed_str = str[::-1] print(f'Original: {str}') print(f'Reversed: {reversed_str}') # Original: Hello, World! #..
index() find() 문자열에서 특정 문자열을 찾을 때 쓰는 함수들이다. 쓰임이 비슷하지만 결정적인 차이점이 존재한다. ▶ 사용 방법 두 함수 모두 사용 방법은 동일하다. str = 'Hello World' print(str.find('o')) # 4 print(str.index('o')) # 4 찾을 문자열을 함수의 인자로 넣어주면, 그 문자열의 index 값을 반환한다. ▶ 차이점 이 두 함수의 차이점은 존재하지 않는 문자열을 찾을 때 드러난다. str = 'Hello World' print(str.find('p')) # -1 find()의 경우 해당 문자가 존재하지 않을 때 -1을 반환한다. str = 'Hello World' print(str.index('p')) 반면에 index()의 경우..
Print() 함수에서 꼭 기억해야할 두 가지 활용법이 있다. ▶ sep sep 은 seperator의 약자로, print() 출력에서 값들 사이를 구분하는 구분자를 말한다. print(1, 2, 3, 4, 5, 6) # 1 2 3 4 5 6 print(1, 2, 3, 4, 5, 6, sep=' ') # 1 2 3 4 5 6 print() 함수로 출력을 할 때 구분자를 넣지 않는 경우가 더 많은데, 이 때 sep은 기본적으로 ' ' (한 칸 공백)으로 설정되어 있다. 즉, 값들 사이에 자동으로 한 칸 공백이 들어가서 출력이 되는 것이다. 만약 값들을 공백 없이 붙여서 출력하고 싶을 때는 아래와 같이 sep안에 빈 문자열을 넣으면 된다. print(1, 2, 3, 4, 5, 6, sep=' ') # 1 2..
python의 데이터 타입 중 하나로, 수학의 집합 개념이라고 볼 수 있다. 데이터에 순서가 없고, 값을 중복해서 쓸 수 없다는 것이 특징이다. ▶ set 생성 s1 = set() print(type(s1)) # s3 = {1, 2, 3, 4, 5} print(type(s3)) # ▶ string -> set char = 'abcdef' sc = set(char) print(sc) # {'b', 'd', 'e', 'a', 'c', 'f'} set은 순서가 없기 때문에 이렇게 문자를 랜덤하게 섞어 버린다. 위치라는 기준 자체가 없기 때문에 index도 사용 불가하다. ▶ 집합으로의 활용 x = {1,2,3,4,5} y = {3,4,5,6,7} #교집합 print(x&y) #{3, 4, 5} ..
Python에서 문자열 format을 할 때는 크게 3가지 방법을 사용한다. 데이터 타입에 따라 선택해서 써야 하니 잘 숙지하고 있어야 한다. %d 정수 (int) %s 문자열 (string) %f 실수 (float) %05d 정수형 숫자 다섯 자리, 남는 부분을 0으로 채움 %.2f 소소수점 둘째 자리의 실수형 숫자 ▶ 사용 예제 name, age = '최다솔', 30 print('나는 %s입니다.' % name, '나이는 %d살입니다.'% age) #나는 최다솔입니다. 나이는 30살입니다. 이렇게 넣고 싶은 변수 타입에 따라 종류를 잘 골라서 넣어줘야 한다. year = 2022 month = 8 day = 23 print('%d-%02d-%02d' %(year, month, ..
여러 개의 데이터를 하나로 묶는 데 사용되는 데이터 타입 중 하나이다. 리스트와 유사하지만, 한번 생성하면 그 이후에는 항목을 추가, 삭제, 변경할 수 없다는 게 가장 큰 특징이다. t1 = () print(type(t1)) # t2 = tuple() print(type(t2)) # t3 = 1, 2, 3, 4 print(type(t3)) # 튜플의 기본 형태는 () 소괄호이지만, 생략이 가능하다. 참고로 원래 Python에서는 모든 데이터에 소괄호가 존재하는데 생략되어 쓰인다고 한다. 따라서 항목을 하나만 갖는 튜플을 생성할 때에는 구분을 위해 반드시 콤마(,)를 붙여 사용해야 한다. a = (1) print(type(a)) # b = (1,) print(type(b)) # c ..
strip() 문자열에서 앞뒤 공백, 개행문자 등 불필요한 부분을 지워야 할 때 사용하는 메서드이다. str.strip([chars]) 문자열 앞과 뒤에서 시작해서 지정한 문자(chars) 외의 다른 문자를 만날 때까지 지정한 문자(chars)를 모두 삭제한 문자열을 반환한다. 만약 지정한 문자와 일치하는 것이 없으면 문자열(str)을 그대로 반환한다. 설명은 어렵지만 코드를 보면 이해가 쉽다. ▶ 공백과 개행문자(\n) 삭제 인자없이 str.strip() 으로 사용한다. str = ' Python ' print(str.strip()) #'Python' str2 = '\n Python \n\n'.strip() print(str2) #'Python' ▶ 특정 문자 제거 앞 뒤에서 제거할 ..
join() 사용법이 좀 특이하고 광범위해서 공부할 때 헷갈렸던 메소드 중 하나이다. 흔히 리스트를 문자열로 변환할 때 사용한다고 소개하는데, 이는 한정된 사용법이다. value가 string이기만 하다면 list, dictionary, set, string, tuple 등 모든 Iterable (반복가능한 객체) 에 사용가능하다. str.join(seq) str 에는 반환될 문자열 사이사이에 들어갈 구분자를 넣고, 시퀀스(seq)에는 iterable 데이터를 넣는다. ▶ list -> string address_list = ['서울시', '종로구', '홍지문길', '33'] address_str = ' '.join(address_list) print(address_str) #서울시 종..